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30)
[리눅스] 우분투 ubuntu 셸과 셸스크립트, 환경변수 셸? 여기서 알아야 될 것은 커널과 셸이다. 커널은 시스템 속에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것에 직접 접근하기는 어렵다. 따라서 셸이라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것을 커널로 전달할 수도 있고 커널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도 있다. 즉 커널과 사용자 중간에서 통신매체로 생각하면 된다. 우분투의 server모드나 X윈도의 터미널 처럼 명령어를 입력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.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셸은 bash(Bourne Again Shell)이다. Korn Shell(ksh)과 C Shell(csh)의 장점을 모은 것이라고 생각해도 된다, bash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. alias: 단축키 기능 예) alias c=clear 하면 c만 눌러도 화면이 청소된다..
[리눅스]우분투 ubuntu 사용자별 공간 할당하기-쿼터 쿼터 개요 리눅스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야 되기 때문에 사용자별로 용량을 제한하지 않으면 문제가 됩니다. 따라서 사용자별로 할당해 줘야 합니다. 여기서 나온 개념이 쿼터입니다. 쿼터란 것은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 혹은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을 말합니다. 루트(/)로 사용하면 시스템과 관련된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습니다.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/를 사용한다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루트보다는 별도의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는 것이 여러 측면에서 좋은 생각입니다. STEP 1 파티션 생성 후 마운트 fdisk로 파티션 생성 후 디렉터리를 만들고 마운트 시킵니다. root@server:~# fdisk /dev/sdb Command (m for help): ..
[리눅스]우분투 ubuntu LVM 실습하기 LVM이란? LVM이란? Logical Volume Manager의 약자로 "논리 볼륨 관리자" "논리 하드디스크 관리자"라는 뜻입니다. 주요 기능은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 한 개의 파티션을 구성한 뒤, 다시 필요에 따라 나누는 것입니다. 혹은 한 개의 디스크를 LVM으로 구성하고 다시 파티션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. 꼭 알아두어야 될 개념이 있습니다. *물리볼륨(Physical Volume): /dev/sda1과 같은 파티션 *볼륨그룹(Volume Group): 물리 볼륨을 합쳐서 1개의 물리그룹으로 만든 것 *논리볼륨(Logical Volume):볼륨 그룹을 1개 이상 나눈 것으로 논리적 그룹 만약에 3GB, 5GB의 2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 8GB의 볼륨그룹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. 그 후 묶은..